logo

[기고] '피그마(Figma)' 인수의 교훈

2022/10/18

thumbnail
고산 에이팀벤처스 대표

어도비는 어쩌려고 29조나 들여 피그마를 샀을까

최근 스타트업계에서 가장 화제가 된 뉴스는 디자인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어도비'(Adobe)가 동종 스타트업 '피그마'(Figma)를 200억달러(약 28조7000억원)에 인수했다는 소식일 것이다. 어도비가 피그마를 인수하는 데 투입한 금액은 올해 피그마 예상 매출액의 50배에 이른다. 이 때문인지 인수 소식이 알려진 후 거액을 쏟아부은 어도비의 주가가 폭락하기도 했다.

정보기술(IT) 관련 회사에 근무하거나 디자인 업무를 하지 않는다면 피그마란 이름이 다소 생소할 수 있다. 반면 어도비는 '뽀샵'이란 별칭으로 일반인에게도 친숙한 소프트웨어 '포토샵'으로 유명한 회사다. 그런 막강한 제품을 보유한 어도비가 뭐가 아쉬워서 창업한 지 10년 된 임직원 800명 규모의 스타트업을 인수한 것일까.

어도비가 피그마에 '거액'을 쏟아부은 결정은 피그마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마냥 터무니없다고 생각하진 않을 것이다. 당장 필자 회사만 놓고 봐도 디자이너가 하는 작업 대부분이 피그마로 이뤄진다. 한 현업 제품 디자이너는 “어도비 입장에서 좋은 가격에 인수한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인수 자체는 잘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도비는 피그마의 어떤 면모 때문에 거액을 주고 인수에 나선 것일까.

피그마 이용자가 말하는 최고 장점은 작업한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협업'하는 데 몹시 편리하다는 점이다. 피그마는 인터넷에만 접속하면 곧바로 사용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지 않아도 무료로 가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링크만 보내주면 작업 결과물을 공유할 수 있고, 모든 작업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함께 작업하는 동료의 최신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조언해 줄 수가 있다. 기존에 디자이너가 사용하던 스케치나 어도비XD 같은 소프트웨어가 디자인 작업 자체에 초점을 맞췄다면 피그마는 '협업'에 방점을 두고 있다. 협업 대상은 같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개발자나 콘텐츠 업무를 하는 다른 팀 소속 비디자이너 구성원까지 포괄한다. 실제로 피그마는 '디자인 업무는 디자이너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라는 모토로 다른 회사 제품과의 차별화에 성공했다.

<출처: 전자신문>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 글의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피그마의 장점

  • 협업에 용이: 작업한 결과물 실시간 공유
  •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바로 사용 가능
  • 무료 가입: 소프트웨어를 살 필요가 없음
  • 실시간 공유: 링크만으로 최신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조언해줄 수 있음
  • 디자인 업무 확장: 다양한 직군의 팀원들과 협업, 디자인 업무가 디자이너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인식 확장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재택근무와 비대면 업무 처리가 일상화하면서 온라인에서 함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협업툴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했다. 분석 주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는 세계 협업툴 시장이 지난해 172억달러(24조7000억원)에서 오는 2028년엔 407억달러(58조5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케츠앤드마케츠는 세계 협업툴 시장 규모를 지난해 472억달러(67조8000억원)에서 오는 2026년 858억달러(123조원)로 늘어날 것이라 예상했다. 세일즈 관리 소프트웨어 세계 1위 업체인 세일즈포스는 지난 2020년 IT업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한 협업툴 '슬랙'을 277억달러(40조원)에 인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세계 협업툴 시장규모 전망

thumbnail
<출처: 전자신문>
  • 포천비즈니스인사이트: 2021년 172억달러(24조7000억원) >> 2028년 407억달러(58조5000억원)
  • 마케츠앤드마케츠: 2021년 472억달러(67조8000억원) >> 2026년 858억달러(123조원)

추천 게시물

related_post

캐파 뉴스레터

[캐파 뉴스레터 75호] 최신 뉴스 및 정부지원사업(파트너)

챙겨두면 두루 좋은 최신 뉴스 [해설] '마더팩토리'는 국내, 해외선 양산…尹 "첨단산업은 안보 전략자산"[이슈분석] 550조 집중투자 … 배터리·바이오 세계 1위로[이슈분석] 첨단산업 투자 발표에 외신 "기술패권 노린 가장 공격적 시도"[이슈분석] 족쇄 풀린 소부장 3개 품목… 한국기업들, 선택지 넓어진다[이슈분석] 부족한 일손 채우는 외국인 직업훈련 강화…“숙련인력으로 장기 근속”[이슈분석] 탄력 잃은 국내 제조업… 최근 10년...

2023.03.21
related_post

캐파 뉴스레터

[캐파 뉴스레터 75호] 최신 뉴스 및 정부지원사업(고객)

챙겨두면 두루 좋은 최신 뉴스 [뉴스] ‘한국판 스페이스X’ 탄생... 국내 스타트업 개발 ‘한빛-TLV’[뉴스] 반도건설, 국내 최초 로봇 기반 3D 프린터로 시공[인터뷰] 테슬라도 반한 '세계 1위' 한국 회사…2700억 '잭팟' 터졌다[인터뷰] "복합위기 속 세계질서 재편…제조강국 한국에 오히려 기회"[이슈분석] 첨단산업 투자 발표에 외신 "기술패권 노린 가장 공격적 시도"[이슈분석] '마더팩토리'는 국내, 해외선 양산…尹 "첨단산업은...

2023.03.21
related_post

캐파 뉴스레터

[캐파 뉴스레터 74호] 최신 뉴스 및 정부지원사업(고객)

챙겨두면 두루 좋은 최신 뉴스 [뉴스] 또 미뤄진 '3D프린팅 로켓' 발사…연료 압력 문제[이슈] 뿌리산업이 뭐길래…"우리도 지정해 달라"[분석] 스타트업 러브콜 보내는 타이어업계…미래차 인력 확보[분석] ‘車반도체’ 폭발적 성장세… 삼성도 핸들 꺾었다[기획] 삼성은 보행보조…현대차는 자율주행배송…'신상 로봇' 쏟아진다[뉴스] '언어학 거장' 촘스키 "챗GPT는 가짜과학…지식 아닌 지능이 부족"[뉴스] 이재용, 마이스터고 첫 방문…"기술인재가 제조업 원동력"[인터뷰] "자율주행서 일...

2023.03.14
related_post

캐파 뉴스레터

[캐파 뉴스레터 74호] 최신 뉴스 및 정부지원사업(파트너)

알아두면 도움 되는 제조 관련 뉴스 [정부 지원] 50인 미만 제조업 집중 지원… 해외 건설근로자에 주택 특공[이슈] 뿌리산업이 뭐길래…"우리도 지정해 달라"[뉴스] 고려아연·포스코 '니켈 합작' 36년 만에 청산[뉴스] 이재용, 마이스터고 첫 방문…"기술인재가 제조업 원동력"[뉴스] 또 미뤄진 '3D 프린팅 로켓' 발사…연료 압력 문제[기획] 삼성은 보행보조…현대차는 자율주행배송…'신상 로봇' 쏟아진다[분석] ‘車반도체’ 폭발적 성장세… 삼성도...

2023.03.14

더 많은 콘텐츠 둘러보기

capa-logo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시 - 2시 제외 • 주말/공휴일 제외)

support@capa.ai

(주)에이팀벤처스 (대표: 고산)​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 60​ (잠원동, 정원빌딩), 3층​

사업자등록번호 : 101-86-83458​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7-서울서초-1387​ | 팩스 : 02-6442-5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