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용 인쇄회로기판 이른바 ‘PCB(Printed Circuit Board)’는 기본적으로 ‘기판’입니다. 기판 자체는 별다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여기에 각종 ‘전자부품’을 장착(조립)하면서 비로소 상품으로서의 부가가치가 올라갑니다. 이처럼 PCB에 전자제품을 장착하기 위해선 ‘표면실장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이 필요합니다. 전자부품 공정 기술의 꽃이라고도 불리는 SM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CB 공정의 마지막 단계는 조립입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제조 분야의 조립과는 달리 고도로 전문적인 영역입니다. 즉, SMT를 바탕으로 하는 PCB 조립은 기판 위에 반도체나 다이오드, 칩 등을 다수 장비로 실장하고 경량화하는 작업입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석이듯, PCB의 발전은 SMT와 궤를 같이 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SMT는 한 마디로 ‘전자부품을 PCB 위에 올리고 납땜을 이용해 부착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사실 별거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단순히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 Device)’를 이용해 자동으로 부품을 올리면 되는데 이게 무슨 기술이냐고 쉽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제품 조립과 달리 PCB 조립시엔 부품간 거리가 '매우' 좁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형 기기의 경우 부품 간 거리가 0.1mm 수준입니다. 초소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더욱 거리가 좁아집니다. 이렇게 빼곡한 간격을 두고 수많은 부품들이 올라갑니다. 저항, 축전기 등 수동소자(passive element)의 사이즈도 보편적인 1005(1.0mm x 0.5mm) 타입에서 0402(04mm x 0.2mm) 타입까지 다양하게 상용화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조립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이런 가운데 SMT는 보다 싼 가격에 제품의 소형화, 고성능화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PCB 기판의 표면을 덮는 초록색 층을 ‘솔더 마스크(Solder Mask)’라고 부릅니다. SMT 작업은 이 솔더 마스크 레벨에서 이뤄집니다. 부품을 부착할 땐 주로 납땜(solder)을 활용합니다.
납땜의 종류는 바(Bar), 와이어(Wire), 크림(Cream) 등으로 나뉩니다. 재료의 경우 주석과 납을 혼합해 조성(Roughness)하거나, 주석과 은으로만 만드는 등 다양한 편입니다.
‘소형화·고성능화’ 저가로 구현
일반적으로 크림 타입의 납땜을 주로 사용합니다. PCB 위에 납땜을 할 때 사용하는 납땜용 합금을 솔더 페이스트(Paste)라고 합니다. PCB 표면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한 뒤 소형(R·L·C), 대형(IC·BGA·Connector) 순으로 부품을 올립니다.
이어서 납땜을 녹여 기판에 이어붙이는 ‘리플로우(Reflow)’ 작업을 시작합니다. 리플로우는 도포한 솔더 페이스트가 보글보글 녹으면서 제자리를 찾는 과정입니다.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만드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단 1, 2초 사이에 온도를 120℃까지 올린 뒤 2분 내로 200℃ 이상으로 달굽니다. 녹은 납은 부품과 붙으면서 냉각됩니다. 설정 온도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으로 운명이 갈립니다.
리플로우 작업이 끝났다면 이어서 부품 주변에 액체 고분자(riquid polymer)와 같은 수지를 채워 넣습니다. 이를 ‘언더필(underfill)’ 공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PCB 연결부 사이에 강력한 기계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물리적 보호막을 형성해 줍니다.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휴대용 기기 또는 온도 변화에 민감한 옥외 설치 제품 등에 주로 적용됩니다.
이처럼 SMT 공정은 기판 인쇄부터 언더필까지 다양한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각종 검사 과정을 거친 뒤 양품(良品)이 탄생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PCB는 우리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일상 속 다양한 제품 속에서 제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물론 양품일 경우에만 가능한 얘기입니다. 불량품으로 판정되면 실제 제품에 사용되지 못합니다. SMT 불량 유형 및 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불량명 | 용어 정의 |
Short | 회로 연결이 안된 부품의 Lead간 또는 부품간 연결이 되어 있음 |
냉땜 | 부품과 PCB간 접합 상태가 불안하거나 떨어져 있음 |
오장착 | PCB의 정해진 위치에 부품이 없음 |
역장착 | 극성이 반대로 장착되어 있음 |
맨하탄 | 2개의 단자 중 한 쪽이 접착되지 않고 뜬 상태 |
들뜸 | 부품 또는 IC류의 Lead가 PCB와 밀착이 안됨 |
단선 | PCB 회로 연결이 끊어짐 |
파손 | 외부 충격에 의해 부품의 용량 값이 안 나옴 |
위치 이격 | 부품이 PCB Land 정위치에서 벗어나 장착되어 있음 |
지금까지 SMT 공정의 대략적인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이 밖에 PCB에 장착되는 주요 부품 및 기능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저항기: 전력을 열로 발산해 전류의 흐름에 저항 생성
커패시터: 더 많은 전력이 회로의 다른 곳에 필요할 때마다 방출
인덕터: 전류가 자기장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
전위차계: 전압을 나누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가변저항
트랜스포머: 전압의 증가 또는 감소와 함께 한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
다이오드: 일방통행처럼 양극(+)에서 음극(-)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함
트랜지스터: 증폭기 및 전자 스위치
실리콘 제어 정류기: 전력 시스템에서 전류 및 전압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
집적 회로: 전기 회로 내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든 회로 부품들의 집합체
크리스탈 발진기: 물리적으로 압전 재료인 결정체를 발진시켜 주기적인 전자 신호를 생성
스위치 및 릴레이: 스위치 역할을하며 작은 전류를 큰 전류로 증폭
센서: 환경 조건의 변화를 감지하고 변화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
PCB와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으시다면 [제조 길잡이] 반도체와는 '실과 바늘', PCB에 대해 알아봅시다, [제조 길잡이] PCB 설계는 어떻게 이뤄지나요 를 참고하세요.
온라인 제조 플랫폼 캐파(CAPA)가 5월 2일부터 PCB 서비스를 출시합니다. 캐파에서는 PCB를 비롯해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갖춘 제조업 파트너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추천 게시물
제조 트렌드
2003년 시작된 '디자인 코리아'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자인 전시회입니다. 매년 국내외 500여 기업의 최신 디자인 제품 2,000여 점이 전시되고, 수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등 대한민국 디자인 확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권위의 디자인 어워드를 비롯해 글로벌한 디자인 트렌드를 한눈에 관람할 수 있으며, 국내외 선도 디자이너들을 초청한 컨퍼런스와 주제전시를 통해...
2023.11.07제조 트렌드
“소부장 파워, 공급망 강국” 소부장뿌리기술대전 현장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2023 소부장뿌리기술대전(TECH INSIDE SHOW) 박람회가 지난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소부장 파워, 공급망 강국’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근간인 소부장 및 뿌리산업의 기술성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수출, 투자 등 비즈니스 협력을 도모했습니다. 소부장뿌리기술대전은 300개...
2023.10.25금형 제작 사출
금형 제작과 사출 기술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세요. Industrial injection molding press the manufacture of plastic parts 1. 사출이 무엇인가요? 사출 뜻: 플라스틱 가공 기법으로, 미리 가공된 틀에 액체 상태의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해 성형하는 공법입니다. 복잡하고 정교한 부품을 몇 초 만에 만들어내는 과정은 경이롭기까지 합니다. 금형사출 공법에 관한 보편적인 가이드입니다. 제조 프로젝트는 요구사항에...
2023.08.29제조 지식
지난달 24일 온라인 제조 플랫폼 캐파(CAPA)가 대대적으로 서비스를 개편했습니다. 회원 유형을 바꾸고, 파트너(제조업체) 검색을 가능하게 하며, 프로젝트 페이지와 통계 페이지를 신설하는 등 고객들의 편의를 고려해 대규모 업데이트를 진행한 것인데요. 그중에서 눈여겨볼 것 중 하나가 바로 캐파가 제공하는 제조 서비스의 확장입니다. CNC가공, 3D프린팅, 금형사출, 판금가공, 주조, 디자인/설계, 전자회로 등 기존 7개의...
2023.08.14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마케팅정보수신동의
캐파결제약관
서비스 운영정책
(주)에이팀벤처스 (대표: 고산)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 60 (잠원동, 정원빌딩), 3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83458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7-서울서초-1387
문의 사항은 우측 하단 채널톡에 남겨주세요.
점심시간 1시 - 2시 제외 • 주말/공휴일 제외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